▲ 성북구 임시선별소 모습
▲ 성북구 임시선별소 모습

언제나 그렇듯 결국 우려가 현실이 됐다. 오미크론 변이 확산의 영향으로 우리나라에서도 실제 1만 명대 신규 확진 사례가 나온 것이다. 앞으로가 더욱 문제다. 정부에서는 3만, 민간 전문가들 사이에선 10~20만 명에 달하는 어마어마한 규모의 바이러스 확산을 각각 경고하고 있다.

지난 26일부터 이틀 연속 1만 명대를 기록한 가운데, 27일 0시 기준 1만4,518명이 신규 확진 판정을 받으며, 연일 최다 경신 기록을 이어가고 있다. 

이처럼 우리나라에선 오미크론 확산이 문제로 떠오르고 있으나, 유럽 등 이미 오미크론을 경험한 국가 중 일부에서는 '변이의 변이' 스텔스 오미크론이 재차 확산하고 있다.

스텔스 오미크론의 경우 이미 덴마크에서는 우세종으로 자리 잡았으며, 일본에서도 관련 감염자가 확인됐다. 결국 델타에 이어 오미크론, 이제는 스텔스 오미크론까지 이른바 ‘변이의 연속’에 전 세계적인 당혹감이 밀려드는 요즘이다. 

한국 정부는 오는 29일부터 방역체계를 오미크론 대응 전략으로 전환하겠다고 했다. 위중증 환자 및 사망자 관리를 역점으로 두는 '선택과 집중' 전략에 기반한 것으로 보인다. 델타 대비 2~3배 전파력 강한 오미크론 변이 속도를 감안하면 신규 확진 증가세는 막을 수 없다는 판단에 따른 것이다. 

다만 전파력 강한 오미크론 변이는 델타 대비 중증화율이 낮다는 점도 고려한 것으로 여겨진다. 의료 역량 한계 측면에서도 일견 타당해 보인다. 

그러나 신규 확진자 증가에 대비한 관리 전략이 부재할 경우 자칫 위중증 환자 발생 규모도 폭증할 가능성을 배제할 수 없다. 실제 해외 사례에서도 단기간 확진자 폭증과 비례해 대규모 위중증 환자가 발생할 수 있다는 게 확인됐다. 

정부는 오미크론 대응체계 전환 계획 중 하나로 '선(先) 신속검사 후(後) PCR' 방침을 밝힌 바 있다. 이는 코로나19 무증상자의 경우 자가진단키트를 활용한 신속항원검사를 원칙으로 하되, 고령층 등 고위험군으로 제한해 PCR(유전자증폭) 검사를 실시하는 방안이다.

문제는 신속성만을 강조한 검사의 부정확성이다. 전문가 집단에서는 이 지점을 크게 우려하고 있다. 

신속항원검사는 통상 PCR 검사 대비 바이러스 배출량이 5,000배에서 10,000배 이상 많아야 검출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이에 따라 2주 동안 양성이 확인되는 PCR 검사와 달리, 신속항원검사를 통해선 감염 초기 3~5일 정도만 확진 여부를 확인할 수 있다. 해외 연구결과에서는 신속항원검사를 코로나19 무증상 환자에게 적용 시 불과 3% 남짓 양성 확인이 가능했다는 보고도 있다. 

대한진단검사의학회는 지난 26일 입장문에서 "바이러스 양이 적은 감염 초기에는 아무리 반복해 신속항원검사를 시행해도 코로나19 바이러스를 검출할 수 없다"며 "실제 매일 항원검사를 시행해도 대규모 코로나19 감염을 예방하지 못한 사례가 여럿 보고된 바 있다"고 우려했다.

게다가 신속항원검사에 대한 민감도가 의료인이 시행해도 50% 미만이고, 자가 검사로 실시할 경우 20% 미만에 그친다는 지적이다. 

학회는 "확진자가 폭증하는 현시점에선 자가항원검사가 아닌 PCR 검사를 더 적극적으로 시행해야 한다"며 "특히 의료인이 직접 시행하는 항원검사를 확대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우리나라의 경우 오미크론 변이가 다른 국가보다 상대적으로 늦게 상륙했다. 정부가 자신 있게 "오미크론 변이에 대응해왔다"고 수차례 밝혔듯 현장을 감안한 종합적이며 세밀한 대책 마련이 필수다. 

불과 3개월 전 부실하게 준비했다가 철회했던 '한국형 위드코로나'의 아픔이 반복되지 않도록 더욱 방역의 고삐를 좨야 할 때다.
 

저작권자 © 데일리 이코노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