CJ대한통운 노조의 택배 파업이 기한조차 알 수 없는 장기전으로 이어지는 모습이다. 이로 인한 피해가 막심하다. 소비자와 함께 온라인 소상공인, 그리고 비노조 택배기사 등은 하루가 다르게 불편이 커지고 있다. 

이번 CJ택배노조 파업의 핵심은 택배요금 인상분 관련 공정하게 배분하라는 게 골자다. 노조는 사회적 합의에 따라 택배요금을 170원 인상했지만 사측이 이 중에서 50원가량만 택배 기사들을 위해 사용하고 있다고 주장했다. 분류 인력 부족에 과로사 방지 합의를 제대로 이행하지 않고 있다고도 주장했다. 

이런 가운데 국토교통부의 앞선 1차 현장 조사 결과로 노조가 내세운 파업의 목적은 불분명해졌다. 국토부는 택배기사 과로 방지 사회적 합의 이행여부를 불시 점검했다. 결과에 따르면 현장점검을 수행한 곳 모두 사회적 합의를 이행하고 있다는 점이 확인됐다.

CJ대한통운 택배대리점연합(대리점연합)은 이와 관련한 입장문을 통해 택배대란이 걱정된다면 택배노조에 파업을 중단하고 현장으로 돌아가 직접 계약관계인 대리점과 성실히 소통해야 한다고 주장했다.

그러나 택배노조는 국토부 결과에 불복하며 파업을 지속하겠다는 입장이다. 이번 조사에서 CJ대한통운이 택배요금 인상분의 절반 이상을 자신의 이윤으로 가져가는 행위는 점검 대상에서 제외했다는 설명이다. 

현재 CJ대한통운 택배노조의 파업이 4주째로 접어들면서 사측은 배송 차질을 최소화하기 위해 1700명의 인력을 추가 투입하기도 했다. 

설 명절 전후 늘어나는 택배 물량 증가 대응에 나서고 파업의 여파에 따른 일부 배송 차질을 최소화하고자 추가 인력을 투입하는 등 가용자원을 총동원했다는 게 사측 설명이다. 

이번 사태로 인해 업계에선 정부가 적극 중재에 나서야 한다는 지적도 제기된다. 택배노사 갈등에 따른 사회적 합의를 이끌어내는 데는 정부의 강력한 조율이 필요하다는 것이다. 노조 파업은 사측과 소통 창구가 막혀있다면 필요할 수도 있다. 그러나 명분 없는 주장을 내세우며 파업을 내세우기엔 무리가 있어 보인다. 현재 국민들은 택배 파업으로 인해 물건을 제대로 받지 못해 걱정이 늘어가고 있다. "대체 주문한 물건은 언제 올까요"

저작권자 © 데일리 이코노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