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제 전문가 절반 이상이 현재 경제 상황을 2008년 세계금융위기 수준과 비슷하거나 더 어려운 상황으로 인식한다는 조사 결과가 나왔다.

한국경영자총협회는 전국 대학 경제·경영학과 교수 204명을 대상으로 최근 경제 상황과 2023년 경제 전망에 관한 의견을 조샇한 결과 52.7%가 현재 경제 상황을 ‘2008년 글로벌 금융위기 때와 유사하거나 더 어렵다’고 진단했다고 지난 13일 밝혔다.

2008년 위기 때와 비슷하다고 본 응답이 27.1%였고, IMF 외환위기 정도는 아니지만 글로벌 금융위기보다 더 어렵다는 응답이 18.7%, IMF 외환위기 때와 유사하거나 더 어렵다는 답도 6.9%나 나왔다.

이러한 경제 상황의 주된 원인으로는 57.4%가 ‘러시아-우크라이나 전쟁, 미중 패권 다툼, 에너지 가격 등 전 세계적 경제·정치 리스크’에 따른 영향으로 해석했다.  

이어 ‘대외 의존적인 우리 경제·산업 구조’(24.0%), ‘정책당국의 신속한 위기 대응 미흡’(11.3%), ‘글로벌 스탠더드에 뒤처진 법·제도’(7.4%) 등의 순이었다.

내년 한국 경제성장률을 두고는 1.5% 초과~2.0% 이하라는 예상이 66.2%, 1.5% 이하라는 전망이 13.2%로 79.4%가 2.0%에 미치지 못할 것으로 예상했다. 

한국 경제가 회복되는 시기로는 53.9%가 2024년, 24.0%가 2025년 이후를 꼽아 2024년 이후라는 전망(77.9%)이 우세했다. 

물가상승률이 정점으로 치솟는 시기로는 내년 1분기라는 예상이 47.1%로 가장 많았다. 내년 2분기 이후는 31.9%, 올해 4분기가 정점이라는 의견은 17.2%였다.

한국은행의 기준금리 인상과 관련해 응답자의 44.1%는 지금 수준보다 기준금리를 더 올릴 필요는 있지만, 시장 충격을 최소화하기 위해 이번 금리상승기 중 최고치는 한은 전망치인 3.5% 수준이 적절하다는 의견이었다.  

국가재정 운영기조에 대해서는 응답자의 65.8%는 ‘최근 기업 자금경색, 위기 대응 측면에서는 단기적으로 확대할 수 있지만, 평상시에는 균형재정이 필요하다’고 답했다. 긴축재정으로 재정 건전성을 높여야 한다는 의견은 20.8%, 재정지출을 더 확대해야 한다는 응답은 13.4%였다.

저작권자 © 데일리 이코노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