다중채무자이면서 신용등급이 낮거나 소득이 적은 30대 이하 청년층이 지난해 4만명 늘었다.

17일 한국은행이 국회 기획재정위원회 소속 진선미 더불어민주당 의원에게 제출한 자료에 따르면, 지난해 말 기준 30대 이하 청년층 취약차주는 46만명이었다. 이는 전체 취약차주(126만명)의 36.5%를 차지한다.

한은은 3곳 이상 금융기관으로부터 대출받은 다중채무자이면서 저신용(7~10등급) 또는 저소득(하위 30%)인 대출자를 취약차주로 분류한다. 이들은 고금리 시기에 대출 상환능력이 떨어질 가능성이 크다.

전체 취약차주 수는 2021년 말 120만명에서 지난해 말 126만명으로 1년 동안 6만명 증가했는데, 30대 이하 청년층에서만 4만명이 늘었다. 지난해 말 전체 가계 취약차주 대출 규모는 93조9000억원으로, 1년 전(92조8000억원)보다 1조1000억원 증가했다.

돈을 빌리고 제때 갚지 못하는 가계가 늘면서 가계대출 연체율도 전 연령대에서 다시 오르는 추세다. 연체율은 30일 이상 연체 전액 합계를 30일 이상 대출 잔액 합계로 나눈 값을 뜻한다.

지난해 말 기준 가계대출 연체율은 30대 이하 0.5%, 40·50대 0.6%, 60대 이상 0.7%로 집계됐다. 모두 1년 전보다 0.1%p 상승했다. 이 중에서도 3곳 이상 금융기관에서 돈을 빌린 다중채무자의 연체가 급증했다. 다중채무자의 연체율은 1.1%로, 1년 전보다 0.2%p 올랐다.

진 의원은 “고금리 추세에서 취약차주의 대출과 연체가 늘면서 청년층과 노년층을 중심으로 이자 부담이 크게 높아질 우려가 있다”며 “국민의 이자 부담을 낮추기 위한 민주당의 민생금융 위기 대응책을 즉각 시행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저작권자 © 데일리 이코노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